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과외] 미추홀외고 전교1등 출신 서울대생이 추천하는 공부법 안녕하세요? 국어/영어/수학/사회 멘토 이시후입니다.과외 상담은 [오픈채팅 https://open.kakao.com/o/s7NaaY4g]으로 부탁드립니다.(현재 모집하고 있지 않습니다. 추후 변동 시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25학번 입학예정- 원광대학교 한의예과(인문) 학종 합격-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전교 수석 ('22-'24)- 교내 영어 멘토링 프로그램 멘토('23-'24)- 국어: 2025학년도 수능 1등급 (백분위 100)- 영어: 2025학년도 수능 1등급 / 모든 모의고사 1등급- 수학: 2025학년도 수능 2등급 / 내신 1등급학생이 스스로 해낼 수 있도록 돕는 멘토가 되겠습니다. 더이상 과외가 필요하지 않을 학생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런 학생을 찾습니다].. 더보기
대학 진학률과 혼인/출산율 간의 상관관계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죽은 시인의 사회 비평 20세기 미국, 보수적인 사립학교에 새로운 영어 교사가 부임한다. 시에 대해 배우는 첫 수업, 키팅 선생은 정형화된 교과서의 서론을 찢어 버리고 교탁 위에 선다. “시는 이처럼 다른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다.” 나중에 나를 부르거든 휘트먼의 시를 인용하여 ‘오 캡틴 마이 캡틴’으로 불러주지 않겠는가.  키팅 선생이 늘 역설하는 하나의 가치, ‘카르페 디엠’, 이에 맞추어 학교와 부모의 압박에 웅크려 있던 학생들은 점차 삶의 가치에 대해 깨달아 간다. 학생들은 키팅 선생의 학창 시절 동아리 ‘죽은 시인의 사회’를 재결성하여 삶의 의미를 발견해 가고, 각자 자신이 현재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한다. 주변의 속박에서 벗어나 한 개인으로서의 홀로서기를 시작하는 것이다.  관객은 다음의 두 장면.. 더보기
음양오행으로 김광섭 읽기 음양오행 읽기음양오행(陰陽五行)은 동양에서 세상을 이해하는 기초적 틀로 자리하였다. 음(陰)과 양(陽)이라는 두 가지 극이 세계를 이루고, 그것으로부터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오행이 발하였다는 것은 오래간 동양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관은 현대에 이르러서도 문화와 언어로 스며든 채 동양인의 정서에 잔재하는 것이다. 음양설은 본래 천문학과 깊은 관계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농경 사회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 절기를 알기 위하여 하늘의 움직임에 관심을 기울였던 것이 이를 설명하고 해석하는 음양설로서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별자리(二十八宿)를 중심으로 황도(黃道)와 백도(白道)를 그리고, 이로써 낮의 길이로 구분지은 사시(四時)—춘분(春分),.. 더보기
신현실주의, 신자유주의, 구조주의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러외교 초록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과 함께 한러 관계의 적신호가 드리워지고 있다. 러시아는 한국의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에 중요한 돌파구가 될 수 있으며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안보 균형을 위한 제삼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주요 국가이다. 나아가 외교 정책의 수립 및 실행에 있어서 일관성은 국가 간 신뢰 확보와 그로써 성공적인 외교 성과를 기대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점에서 미루어, 대러외교에 대한 접근은 일정한 이론적 근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고는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더불어 구조주의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선행한다. 각 이론을 기반으로 대러외교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러외교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접근법을 발견한다. 러-우 전쟁 이전의 극동 외.. 더보기
이산확률분포의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중심극한정리의 실증 I. 서론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교과서에서는 이항분포와 정규분포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김원경 외, p. 97): “확률변수 𝑋가 이항분포 𝐵(𝑛, 𝑝)를 따를 때, 𝑛이 충분히 크면 𝑋는 정규분포 𝑁(𝑛𝑝, 𝑛𝑝𝑞)를 따른다. (단, 𝑞=1-𝑝)” 이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라는 표현으로써 그 증명은 고등학교 교육과정 외의 것임을 밝히고 있는데, 지난 수학 에세이(도서: 『세상에서 제일 쉬운 통계학 입문』(고지마 히로유키))에서 그것이 ‘중심극한정리‘에 의한 것임을 확인한 바 있다. 중심극한정리는 “동일한 확률분포를 가진 독립 확률 변수 𝑛개의 평균의 분포는 𝑛이 적당히 크다면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는 정리”로, 표본평균의 분포는 𝑛.. 더보기
일본의 민간 주도 '완전 자생적' 지방 재생 사례와 특징, 국내 적용 방안 I. 서론지난해 4분기 발표된 합계출산율은 1인당 0.65명을 기록하였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고 출산율이 반등할 것이라는 예측을 무용으로 하며, 올해 1월의 출생아 수는 역대 최저를 갱신하며 인구의 자연 감소를 이끌고 있다. 이러한 저출산 문제는 지방의 인구 유출과 함께 지방 소멸이라는 사회 문제를 가져왔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226개 시·군·구 중 89개 시·군·구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하였으며,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중심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 소도시가 포함되었다. 인천에서는 강화군과 옹진군이 포함된 한편, 한 언론사에서 발표한 “인구 소멸 전국지도”에 따르면 동구 1곳, 강화군 1곳, 옹진군 2곳을 포함한 전국 123곳의 읍·면·동이 100년 이내에 완전한 소멸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더보기
'서울 1964년 겨울(김승옥)'과 '산(김광섭)'의 시민 의식 1965년 발표된 김승옥의 단편 소설, ‘서울 1964년 겨울’은 흔히 “사회에 대한 회의”, “타인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개인주의”라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류수열 외, 2024). 개인은 삭막한 ‘식민지의 거리’에서 홀로 단절되어갈 뿐이다. 한편, 작품의 창작적 배경을 4·19 혁명에서 찾은 한 연구가 눈에 띈다. 4·19 혁명과 함께 사회로 분출된 시민 의식에 대한 열망은 군부 독재와 함께 좌절되었고, 이러한 “미완의 이념형”이 작중 등장인물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류동규, 2024). 연구자는 작풍 등장인물들이 수동적으로 타인과의 차이를 직면하고, 서로 연대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즉, 시민 의식을 향한 여정에서 등장인물들은 “소시민적 한계”를 보여주며 “시민적 연대”.. 더보기